한기석 기자
서초구에서는 동네 서점이 곧 도서관이다. 신간 책을 기다림 없이 서점에서 사 읽고, 반납하면 구매비 돌려받고, 지역 서점엔 활기가, 도서관엔 공유된 책이 가득하니 독서의 즐거움이 4배다.
서초구에서는 동네 서점이 곧 도서관이다. 신간 책을 기다림 없이 서점에서 사 읽고, 반납하면 구매비 돌려받고, 지역 서점엔 활기가, 도서관엔 공유된 책이 가득하니 독서의 즐거움이 4배다.
서울 서초구(구청장 전성수)의 `북페이백` 서비스가 올해로 7년 차를 맞았다. `북페이백`은 지역 서점에서 책을 사서 읽은 후 3주 내 반납하면 구매 금액을 돌려주는 서비스로, 2019년 서초구에서 전국 최초로 시작됐다. 지역 서점을 마치 도서관처럼 활용이 가능한 혁신적인 제도로 2020년에는 특허까지 획득했다.
특히, 최근에는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과 `책 읽는 멋진 나`를 공유하는 `텍스트힙(Text Hip)` 문화의 유행 등으로 젊은 세대의 독서 수요가 늘어나면서, 북페이백이 더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초구립도서관 누리집(seocholib.or.kr)에서 원하는 도서와 지역 서점(9개 협약 서점)을 선택해 신청하고, 승인 확인 후 해당 서점을 방문해 책을 구매하면 된다. 독서 후 3주 이내에 영수증과 함께 부록이 빠지거나 훼손되지 않은 상태의 책을 구매한 서점에 반납하면 비용을 전액 환급 받는다. 한 사람이 월 최대 3권, 연간 24권까지 이용할 수 있고, 반납된 도서는 구립도서관에서 재구매해 주민들에게 공공 대여한다.
이렇게 진행된 북페이백 서비스는 지금까지 51,821권이 신청·활용되며 많은 주민들의 호응을 얻었다. 구는 그 매력을 4가지로 분석했는데, ▲경제적 부담 완화 ▲기다림 없는 독서 ▲지역경제 함께 살리기 ▲책의 순환을 꼽았다. 이용자들은 북페이백을 통해 무료로 신간 도서나, 인기 베스트셀러도 즉시 읽을 수 있는 한편, 지역 서점의 매출을 높이면서 이후 공공도서관에서 다수가 해당 책을 나누는 공공의 가치 실현도 함께 한다.
덕분에 한번 서비스를 이용한 주민들은 꾸준히 활용하고, 주변인에게 꼭 추천한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반납하기 전에 꼭 읽어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돼 독서량이 늘었다"거나, "다양한 책을 부담 없이 선택해 볼 수 있어 만족한다"는 소감을 남기기도 했다.
전성수 서초구청장은 "전국 최초로 시작한 북페이백 서비스 덕분에 서초구는 전국 최고 수준의 독서 문화 도시로 거듭났다."며, "좋은 책 한 권을 무료로, 빨리, 함께, 나누며 읽는 4색 즐거움을 모두가 누리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