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석 기자
서울 동대문구가 행정안전부, 서울시, 한국국토정보공사와 협력해 전통시장 내에서 화재와 범죄를 예방하는 주소기반 자율주행 순찰로봇 시범 운영을 추진한다.
주율주행 순찰로봇 `배로미`.이번 시범 운영은 행정안전부의 「주소체계 고도화 및 주소기반 혁신산업 창출」 공모사업에 동대문구가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본격화됐다. 구는 전통시장 내 입체주소를 구축하고 서울시 S-Map 데이터를 활용해 복잡한 실내·외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순찰 로봇 서비스 모델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안전 사각지대가 많은 심야 시간대에 순찰로봇을 집중 배치한다. 해당 로봇에는 열화상 카메라와 AI 객체 인식 기술이 탑재돼 있어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고 범죄 발생 가능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노릴 수 있다.
이는 기존 인력 중심의 순찰 한계를 보완하며, 상인과 주민이 보다 안심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로봇은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제시스템과 연동된다. 이를 통해 화재나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초동 조치가 가능하고, 인명 구조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동대문구는 이를 기반으로 현장 대응력을 강화하고, 보다 체계적인 안전 관리 체계를 확립하겠다는 계획이다.
사업 추진 일정에 따르면, 구는 오는 9월까지 전통시장 내 로봇 이동 경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뒤, 10월 말부터 약 2개월간 청량리전통시장과 청량리농수산물시장에서 시범 운영을 실시한다. 시범 운영을 통해 확보된 데이터와 성과는 향후 관내 다른 전통시장으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이필형 동대문구청장은 “전통시장은 주민과 상인이 함께 어울리는 지역경제의 중심 공간”이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AI 선도 도시에 걸맞은 스마트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혁신 기술을 지속적으로 도입해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